05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
양 난 이후의 정치와 제도 정비
붕당 정치의 전개
형성 |
선조 때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 |
전개 |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 → 인조반정 이후 서인과 남인 공존 → 서인과 남인 대립(예송) |
변질 |
숙종 때 환국을 거쳐 일당 전제화 대두, 서인이 노론과 소 론으로 분화 |
탕평책의 실시
① 배경:붕당 정치의 변질로 세력 균형 붕괴 → 왕권 불안정
② 영조: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 주도, 서원 정리, 이조 전랑의
권한 약화, 균역법 도입, 속대전 편찬 등
③ 정조:규장각 설치, 초계문신제 실시, 장용영 설치, 화성 축조,
수령의 권한 강화, 통공 정책 실시, 대전통편 편찬 등
군사 제도의 정비
① 중앙군:5군영(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② 지방군:속오군 체제(양반 ~ 노비로 편성, 유사시 동원)
수취 체제의 개편
영정법 |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전세로 쌀 4 ~ 6두 징수 |
대동법 |
가호에 부과되던 토산물 대신 소유한 토지 결수에 따라 쌀•포목•동전으로 징수 → 공인 등장 |
균역법 |
군포를 1년에 1필로 축소, 지주에게 결작 징수, 일부 부유 층에게 선무군관포 징수 |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농촌 경제의 변화
① 농업 기술의 발달:모내기법 확대 → 노동력 절감, 생산력 증
대, 광작 유행(1인당 경작 면적 확대)
② 상품 작물 재배:쌀의 상품화, 인삼•면화•담배•채소 등 재배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① 민영 수공업 발달:선대제 성행 ② 민영 광산:상인이 물주가 되어 투자, 덕대가 경영
상업의 발달과 화폐의 유통
① 상업의 발달
•사상:경강상인•송상•만상•내상 등, 일부는 도고로 성장
•장시와 포구의 발달:보부상, 객주, 여각 등 활동
② 대외 무역:개시 무역(공무역)과 후시 무역(사무역) 발달
③ 화폐 유통:상업 발달로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
신분제의 동요
계층 분화
① 양반층의 분화:권력을 가진 양반, 향반, 잔반으로 분화
② 농민층의 분화:일부는 부농으로 성장, 다수는 임노동자로 몰락
신분 상승을 위한 노력
① 노비:군공•납속•도망 등으로 신분 상승 추구, 노비종모법과
공노비 해방 등으로 신분 상승 가능
② 중인:서얼 차별 완화, 기술직 중인은 소청 운동 전개
실학의 등장과 서민 문화의 발달
실학 : 조선 후기 사회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 개혁론
① 농업 중심의 개혁론
특징 |
농촌 사회 안정을 위한 토지 제도 개혁 주장 |
유형원 |
균전론(신분에 따라 토지 차등 지급) |
이익 |
한전론(매매할 수 없는 영업전 설정) |
정약용 |
여전론(마을 단위의 공동 농장), 정전론 |
② 상공업 중심의 개혁론(북학파)
특징 |
부국강병을 위한 상공업 진흥과 청 문물의 수용 주장 → 개화 사상으로 계승 |
유수원 |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과 전문화 주장 |
홍대용 |
중국 중심의 세계관 비판 |
박지원 |
화폐 유통, 기술 개발 강조(열하일기) |
박제가 |
소비 촉진을 통한 생산력 증대 주장(북학의) |
국학 연구
배경 |
중국 중심의 세계관 비판 → 국사•지리 등 연구 |
역사 |
동사강목(안정복), 동사(이종휘), 발해고(유득공), 해동역사 (한치윤) |
지리 |
택리지(이중환), 동국지도(정상기), 대동여지도(김정호) |
서민문화의 발달과 예술의 새경향
서민문화 |
서민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 서당 교육
의 확대 |
새 경향 |
진경산수화(정선, 인왕제색도), 풍속화(김홍도•신윤복) |
새로운 사상의 등장
천주교
전래 |
서학으로 소개 → 신앙으로 수용(일부 남인계열) |
확산 |
평등 사상과 내세 신앙을 바탕으로 확산 → 제사거부 등 성리학적 질서 부정을 이유로 탄압 |
동학
창시 |
경주 최제우가 창시(1860) |
확산 |
인내천, 보국안민, 후천 개벽 사상을 바탕으로 확산 → 사교로 규정하여 포교 금지, 최제우 처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