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건국(청동기 문화 바탕)

단군의 건국 이야기

• 수록: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등에 실려 있음
• 내용: 천손 사상(환인, 환웅), 농경 사회, 계급 사회, 부족 간의 결합, 제정일치의 지배자(단군왕검) 출현

관련 문화 범위

랴오닝 지방 ~ 한반도 북부(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 근거)

발전과 멸망

발전

중국의 연과 대립할 만큼 강성, 기원전 3세기경 왕위 세습,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 존재

위만의 집권
(기원전 194)

• 과정:위만의 무리가 고조선으로 이주 → 세력 확대 후 준왕을 내쫓고 왕위 차지
•영향:철기 문화의 본격적 수용, 중계 무역으로 번영

멸망
(기원전 108)

한 무제의 침략, 왕검성 함락으로 멸망→ 고조선 영토에 한 군현 설치

사회

8조법으로 통치, 한 군현 설치 후 법 조항이 60여 조로 증가

여러 나라의 성장

부여

• 쑹화강 유역의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성장
• 발전과 멸망 : 1세기 초 왕호 사용, 중국과 교류하며 세력 확대 → 3세기 말 선비족의 침입으로 쇠퇴 → 5세기 말 고구려에 병합(494)
• 정치 : 5부족 연맹체, 왕권 미약 → 마가•우가•구가•저 가가 사출도 통치, ‘가’들이 국왕을 선출하고 흉년이 들면 책임을 물음
• 사회 : 농경•목축 발달, 순장 풍습, 영고(제천 행사, 12월), 소의 발굽으로 길흉을 점침, 엄격한 법률(살인자는 사형, 도둑질한 자는 물건값의 12배 배상 등)

고구려

• 압록강 지류인 동가강(훈장 강) 유역의 졸본 지방에서 주 몽이 건국(기원전 37)
• 발전 : 국내성으로 천도, 5부족 연맹체를 토대로 발전 → 활발한 정복 활동(한 군현 공략, 요동 진출, 옥저 정복)
• 정치 : 왕 아래 상가 •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각기 사자,조 의,선인 등의 관리를 거느림, 제가 회의(중대한 범죄자 처벌) • 사회: 서옥제•형사취수제(혼인 풍속), 동맹(제천 행사, 10월), 조상신 제사(주몽, 유화 부인)

옥저와 동예

• 함경도 동해안(옥저), 강원도 동해안(동예) → 선진 문화 수용이 늦음, 고구려의 압력으로 통합된 정치 세력 으로 성장하지 못함
• 정치 : 국왕이 없고 읍군•삼로라 불리는 군장이 지배
• 경제와 사회
- 옥저 : 해산물 풍부(어물, 소금) → 고구려에 공납, 농경발달, 민며느리제, 가족 공동 무덤
- 동예 : 농경•어로, 방직 기술 발달, 특산물(단궁•과하마•반어피), 무천(제천 행사, 10월), 엄격한 족외혼, 책화(다른 부족의 영역 침범 시 노비•소•말로 배상)

삼한

• 남부의 진(辰)과 고조선 유이민의 결합 → 마한•진한•변한 성립
• 정치: 신지•읍차 등 군장이 통치, 천군이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 주관 → 제정 분리
• 벼농사 발달, 변한 지역의 철 생산 활발(낙랑, 왜 등에 수출)
• 공동 노동 조직, 제천 행사(5월과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