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학생 운동

배경

3•1 운동 이후 청년•학생들의 각성, 사회주의 사상 수용 → 민족 운동의 주체로 보다 적극적인 활동 전개

6•10만세 운동(1926)

배경

순종의 죽음 → 사회주의 계열과 천도교 계열, 학생들의 만세 시위 계획

경과

사전에 시위 계획 발각, 탄압 → 학생중심의 만세시위 → 전국 확산없이 진압

의의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계열의 연대 가능성 확인 → 민족유일당 운동의 토대

광주학생 항일운동(1929)

배경

한•일 학생 간 충돌 발생(일본인 학생들의 한국인 여학생 희롱) → 일제와 언론, 교육 당국의 편파적 조치 → 학생들의 불만 폭발

전개

• 광주 학생들의 대규모 가두 시위, 인근으로 확산 → 신간회의 진상조사단
• 민중대회 개최 추진, 동맹휴학과 시위 전국확산

의의

3•1 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으로 발전

다양한 사회 운동

소년운동

소년을 온전한 인격체로 대우 → 방정환과 천도교 소년회 중심으로 어린이날 제정, ‘어린이’ 잡지, 조선소년연합회 결성(1927)

여성운동

• 열악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호주제 법제화, 가부장적 성격의 가족법, 여성 노동자 차별 등)에 대한 불만
• 여성단체 결성(민족주의 계열 - 여성의 지위 향상•계몽 활동 추진 / 사회주의 계열 - 여성 해방•계급투쟁 전개) → 민족유일당 운동의 결과 근우회 창립
(1927,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 여성노동자의 조직화, 여성계몽 등의 활동 추진)

형평운동

• 신분제 철폐에도 불구하고 일제까지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 진주에서 조선형평사 결성(1923), 전국 조직으로 성장 → 다른 사회 운동 단체와 연대, 항일 민족 운동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