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동학농민운동
배경
① 개항 이후 농촌 사회의 동요
내적요인 |
• 수령•아전•지주•대상인의 수탈 |
외적요인 |
• 개항장을 통한 일본 상인의 곡물 유출 → 곡가 폭등 |
② 교조 신원 운동
배경 |
동학의 교세확장 : 포접제의 교단 조직 활용 |
주장 |
교조 최제우의 신원과 동학의 합법화 요구 |
전개 |
• 삼례집회(1892) |
전개
① 고부 농민 봉기(1894. 1.)
원인 |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만석보 축조와 수세 징수 등) |
경과 |
전봉준의 주도로 고부 관아 점령, 만석보 파괴 → 자진 해산 |
② 1차 농민 봉기(1894. 3.)
원인 |
안핵사 이용태의 농민봉기 참여자 색출 및 탄압 |
경과 |
무장에서 봉기 → 백산으로 이동(4대강령과 격문 발표) |
③ 전주 화약(1894. 5.)
배경 |
정부가 농민군 진압을 위해 청에 원병 요청 → 청군 출병,일본군 출병 |
경과 |
관군과 농민군의 화의 → 농민군 자진해산 → 농민군의 집강소 설치(전라도, 폐정 개혁 실천) |
④ 2차 농민 봉기(1894. 9.)
배경 |
일본군의 경복궁 무력점령, 내정개혁 강요(군국기무처 설치), 청•일 전쟁 발발 |
경과 |
재봉기 → 전봉준과 손병희의 남•북접군이 논산에 집결, 서울로 북상 → 공주 우금치전투에서 농민군 패배 → 전봉준 등 지도부 체포 |
성격과 의의
성격 |
• 반봉건 사회 개혁 운동(노비문서 소각, 지배층의 수탈 타파 등 정치•사회 개혁 요구) |
의의 |
• 갑오개혁에 영향(봉건질서 붕괴촉진) |
갑오•을미개혁
배경
동학농민군의 요구 등으로 개혁의 필요성 대두 → 교정청 설치(자주적 개혁 시도)
제1차 갑오개혁
① 경과: 일본군의 경복궁 무력 점령 → 흥선대원군의 김홍집내각 수립, 군국기무처 설치
② 내용
정치 |
개국기원 사용, 궁내부 설치(왕실과 정부사무 분리) |
경제 |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
사회 |
신분제 철폐(노비제 혁파), 인신매매 금지 |
제2차 갑오개혁
① 청일전쟁에서 승세를 잡은 일본의 간섭 → 흥선 대원군 퇴진 →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 수립, 군국기무처 폐지, 고종이 독립 서고문과 홍범 14조 반포
② 내용
정치 |
내각제 시행, 8아문을 7부로 개편, 8도를 23부로 개편 |
경제 |
징세 기관 일원화 |
사회 |
교육입국 조서 반포, 근대적 교육 제도 마련(한성 사범 학교 관제, 소학교령, 외국어 학교 관제 등) |
을미개혁
① 청일전쟁 종결(시모노세키조약) → 삼국 간섭
(일본세력 약화, 러시아세력 증대) → 박영효 실각 → 온건 개화파와 친러•친미파의 연립내각 수립 → 을미사변 발생 → 친일 내각 수립
② 내용
정치 |
‘건양’ 연호 제정 |
사회 |
단발령, 종두법, 우체사 증설, 태양력, 소학교 설립 |
군사 |
친위대(중앙)와 진위대(지방) 설치 |
③ 반발: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저항한 의병 봉기
④ 중단: 아관 파천(1896)으로 개혁 중단, 개혁 주도 세력 피살
갑오•을미개혁의 의의와 한계
의의 |
•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개혁요구 일부 반영 |
한계 |
• 일본의 강요에 의해 개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