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과 광무개혁

대한 제국의 수립(1897)

배경

고종의 환궁 요구 여론 고조, 자주독립 국가 수립의 필요성 자각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 균형

과정

고종의 경운궁 환궁 → 칭제 건원 건의
→ ‘광무’ 연호 제정, 고종의 황제 즉위(환구단), ‘대한 제국’ 수립 선포


대한국 국제(1899)

독립협회 강제해산 후 반포 → 황제의 무한한 군주권 규정(전제 정치)


광무개혁

구본신참의 원칙 표방 → 점진적 개혁

정치•군사

• 군주권 강화 : 궁내부 •내장원 확대
• 황궁 안에 원수부 설치
• 시위대(서울)•진위대(지방) 증강

경제

• 양전 사업 실시(지계 발급) → 재정 수입 증대, 근대적 토지 소유권 보장 노력
• 식산흥업 정책 : 근대적 회사•공장 설립

교육

중학교 관제 공포(한성 중학교 설립)
의학,상공,외국어 학교 설립, 유학생 파견

시설

전화, 우편, 전보망 확충, 전차•철도의 부설

의의

• 자주적 개혁, 산업•교육•근대적 시설 확충
• 한계: 집권층의 보수성, 국방력 증강 미흡, 열강의 간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