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수용

근대 시설의 도입

일상 생활 편리, 열강의 이권침탈과 침략 목적에 이용

통신

전신(나가사키~부산1884, 서울~인천1885)
우편(우정총국 설치, 1884 → 갑신정변으로 중단, 을미개혁으로 재개)
전화(경운궁, 1898)

교통

전차(서대문~청량리, 1899)
철도(경인선 1899, 경부선 1905, 경의선 1906)

전기

전등(경복궁 1887), 한성 전기 회사 설립(1898)

의료

광혜원(1885, 제중원으로 개칭), 세브란스 병원(1904), 대한의원(1907) 등+

건축

독립문(프랑스 개선문 모방, 1897), 명동성당(고딕양식1898), 덕수궁 석조전1910

기타

기기창(1883, 근대 무기 공장), 박문국(1883, 한성순보 발간), 전환국(1883, 화폐 발행)

언론

한성순보

최초의 신문, 관보 성격, 개화 정책•국내외 정세 소개

독립신문

서재필이 정부 지원으로 발행, 한글판,영문판 발행
자주독립 정신과 근대 민권의식 고취

황성신문

유림층 대상, 국한문 혼용,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제국신문

서민층과 부녀자 대상, 순 한글 발행

대한매일 신보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운영, 순한글•국한문•영문판 발행
의병항쟁에 호의적, 국채보상운동 적극 지원

국외

해조신문(1908, 연해주), 신한민보(1909, 미국) 등

탄압

신문지법 제정(1907)

근대 교육

근대교육의 시작

원산 학사(1883), 동문학(1883)
육영 공원(1886, 미국인 교사 초빙)
연무 공원(1888, 근대식 사관 양성 학교)

근대적 교육제도

교육입국 조서 반포(1895) → 사범 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 설립

광무개혁 시기

관립 중학교, 각종 실업 학교, 기술 교육 기관 설립

사립 학교 설립

선교사 설립(배재 학당, 이화 학당 등)
민족 지도자 설립(오산 학교, 대성 학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