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수용
근대 시설의 도입
일상 생활 편리, 열강의 이권침탈과 침략 목적에 이용
통신 |
전신(나가사키~부산1884, 서울~인천1885) |
교통 |
전차(서대문~청량리, 1899) |
전기 |
전등(경복궁 1887), 한성 전기 회사 설립(1898) |
의료 |
광혜원(1885, 제중원으로 개칭), 세브란스 병원(1904), 대한의원(1907) 등+ |
건축 |
독립문(프랑스 개선문 모방, 1897), 명동성당(고딕양식1898), 덕수궁 석조전1910 |
기타 |
기기창(1883, 근대 무기 공장), 박문국(1883, 한성순보 발간), 전환국(1883, 화폐 발행) |
언론
한성순보 |
최초의 신문, 관보 성격, 개화 정책•국내외 정세 소개 |
독립신문 |
서재필이 정부 지원으로 발행, 한글판,영문판 발행 |
황성신문 |
유림층 대상, 국한문 혼용,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
제국신문 |
서민층과 부녀자 대상, 순 한글 발행 |
대한매일 신보 |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운영, 순한글•국한문•영문판 발행 |
국외 |
해조신문(1908, 연해주), 신한민보(1909, 미국) 등 |
탄압 |
신문지법 제정(1907) |
근대 교육
근대교육의 시작 |
원산 학사(1883), 동문학(1883) |
근대적 교육제도 |
교육입국 조서 반포(1895) → 사범 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 설립 |
광무개혁 시기 |
관립 중학교, 각종 실업 학교, 기술 교육 기관 설립 |
사립 학교 설립 |
선교사 설립(배재 학당, 이화 학당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