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삼국과 남북국의 발전
삼국의 성립과 발전
삼국의 성립
특징: 왕권강화(정복으로 영역확대), 율령반포(통치체제 정비),불교 수용(집단의 통합 강화)
고구려
성립 |
졸본에서 건국, 국내성으로 천도 |
태조왕 |
왕위독점 세습(계루부 고씨), 옥저 복속 |
고국천왕 |
5부 개편(부족적 성격 → 행정적 성격), 왕위의 부자 상속 |
백제
건국 |
고구려 유이민 세력 + 한강 유역 토착 세력 |
고이왕 |
한강 유역 장악, 관등제 정비, 관복제 도입 |
신라
성립 |
사로국에서 출발 |
왕위 |
박•석•김이 교대로 왕위 차지 |
내물왕 |
김씨 왕위계승권 확립, 왕명 ‘마립간’사용 |
전기 가야연맹 - 김해의 금관가야가 연맹 왕국의 중심 역할
-
농경 문화 발달, 철 생산, 무역 활동
-
고구려군의 공격으로 중심 세력 위축
삼국의 발전
고구려 - 4C~5C
소수림왕 |
율령 반포, 불교 공인, 태학 설립 |
광개토대왕 |
만주 정복,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
장수왕 |
평양 천도, 한성 함락, 한강유역 장악 |
백제
근초고왕 |
마한 정복, 황해도 진출, 낙동강유역의 가야에 대한 지배권 |
무령왕 6C |
22담로에 왕족 파견 |
성왕 |
사비 천도, 국호 ‘남부여’, 한강유역일부 수복 → 신라에 빼앗김 → 관산성전투 패배 |
신라 - 6C
지증왕 |
국호 ‘신라’, ‘왕’ 칭호, 우산국 복속 |
법흥왕 |
병부 설치, 율령반포, 공복제정,골품제정비,불교공인,금관가야 병합 |
진흥왕 |
화랑도 개편, 한강 유역 차지, 함경도진출, 대가야 정복, 단양 적성비와 진흥왕 순수비 건립 |
후기 가야 연맹 - 5C후반
-
고령의 대가야 가 연맹 주도, 6C 신라에 병합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수 |
수 양제의 침입 → 을지문덕이 격퇴(살수 대첩, 612) |
당 |
당 태종의 침입 → 안시성 싸움(645)에서 격퇴 |
신라의 삼국 통일(676)
삼국통일 |
나•당 연합군 결성 →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 당군 격퇴(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
부흥운동 |
백제 부흥운동(복신,도침, 흑치상지, 왕자 풍) |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 아스카 문화 형성에 영향
고구려 |
종이,먹의 제조(담징),쇼토쿠 태자의 스승(혜자) |
백제 |
천자문•논어(왕인),불경,불상전파(노리사치계) |
신라 |
조선술,축제술 |
가야 |
토기기술 → 스에키 문화에 영향 |
남북국의 발전
통일 신라의 발전
-
왕권강화: 무열왕 직계자손의 왕위계승, 집사부장관인 시중의 기능 강화
-
신문왕의 개혁 : 귀족 숙청, 9주 5소경 체제 완비,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유학사상 강조(국학 설립) → 6두품 세력 성장
-
왕권의 동요 : 경덕왕 때 녹읍 부활, 귀족들의 향락과 사치 → 농민 부담 증가
-
신라말 정치변동과 호족의 성장
중앙 |
왕위 쟁탈전(김헌창의 난 등) → 지방 통제력 약화 |
사회혼란 |
지배층의 강압적인 수취 → 농민 몰락. 노비나 초적으로 전락 → 농민봉기(원종•애노의 난) |
호족세력 성장 |
반독립적 세력으로 성장 → 지방행정권과 군사권장악, 6두품 세력이나 선종 승려와 결탁 |
후삼국 |
후백제(견훤,900), 후고구려(궁예,901) |
발해의 성립과 발전
성립 |
고구려 유민 + 말갈인, 신라와 남북국의 형세 |
무왕 |
산둥지방 공격(장문휴), ‘인안’ 연호 |
문왕 |
당과 친선관계(문물수용), 상경으로 천도,‘대흥’ 연호 |
선왕 |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지방 제도 완비 → ‘해동성국’ |
멸망 |
거란의 침입(926) |
남북국의 통치 체제
구분 |
통일 신라 |
발해 |
중앙 |
집사부 등 14부, 감찰업무: 사정부 |
3성6부제(당 제도 수용, 독자적 운영) |
지방 |
9주: 행정적기능강화. |
5경 15부 62주 |
군사 |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 |
10위(중앙군), 지방군 |
남북국 시대의 대외 교류
통일 신라 |
• 당 : 공무역 •사무역 발달, 신라방, 신라관, 신라원 |
발해 |
•신라 : 신라도를 통한 교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