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 연구와 문예•종교 활동

국학 연구

국어

• 한글 보급 : 공문서에 국한문 혼용, 한글 신문 발행
• 국문 연구소 설치(1907), 주시경 국어 문법 저술

역사

• 민중 계몽을 위한 역사 연구 활발
• 신채호: 이순신전, 을지문덕전 등, 독사신론 →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 방향 제시
• 박은식: 신문, 잡지에 논설 발표
• 외국 흥망사 번역 출판

문예

문학

신소설(이인직 “혈의 누”, 안국선 “금수회의록” 등)
신체시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외국 서적 번역

음악

창가 유행(서양식 악곡 도입), 판소리 정리(신재효)

연극

원각사(1908, 서양식 극장)에서 ‘은세계’ 등 공연

미술

서양 화풍 도입(유화)

종교계

유교

박은식 ‘유교 구신론’ 발표(실천적 유교 강조)

불교

한용운 ‘조선 불교 유신론’(불교 쇄신과 근대 개혁 운동 추진)

천주교

고아원, 양로원 등 운영

개신교

의료, 교육 활동(병원과 학교 설립)

천도교

손병희가 동학을 개칭, 만세보 간행

대종교

단군신앙을 바탕으로 창시(1909)
국권 피탈 후 만주로 옮겨 무장 투쟁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