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침략과 국권침탈

러일 전쟁(1904~1905)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 격화 → 대한제국 중립선언
→ 러•일 전쟁 발발 → 가쓰라•태프트 밀약, 제2차 영•일 동맹
→ 러시아 패배(포츠머스 조약)

일제의 국권 침탈

한일의정서 1904

• 군용지 사용
• 제1차 한•일 협약 : 외교와 재정 고문 파견

제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1905

제2차 한•일 협약: 통감 정치, 외교권 박탈

한일신협약
정미7조약 1907

• 헤이그특사파견 → 고종의 강제 퇴위
•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일본인 차관 임명, 군대해산

기유각서 1909

사법권 박탈

한일병합 1910

조약 강제 체결 → 국권 피탈

간도와 독도

간도

• 귀속 분쟁(19세기말): 백두산정계비(토문강의 위치)로 청과 영유권 갈등
• 간도관리사(이범윤) 파견, 간도를 함경도에 편입
• 간도협약(1909): 일제가 남만주 철도부설권을 대가로 청의 영토로 인정

독도

•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반포(1900),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하여 독도를 관할하게 함
• 일본이 시마네현 고시를 통해 자국 영토에 편입시킴(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