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갑신정변과 개항이후의 경제변화

개화 세력의 대두

개화 사상의 형성

배경

북학파의 영향, 양무운동(청), 메이지 유신(일본)

인물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

주장

서양과의 통상(문호 개방)과 서양 문물의 수용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

① 형성 : 박규수 등의 영향을 받은 젊은 양반 자제
② 분화 : 임오군란 전후 개화의 방법과 속도, 외교 정책을 둘러싼 의견 차이

구분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중심 인물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등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등

개혁 모델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메이지 유신

개혁 주장

동도서기론(전통 사상과 제도 유지, 서양의 기술만 수용)

문명개화론(서양의 과학기술과 사상•제도까지 수용)

대청 외교

친청 사대 정책 유지

청의 내정 간섭과 사대 외교 반대

갑신정변(1884)

배경

① 청의 내정간섭: 개화 정책 후퇴 → 급진 개화파의 불만 고조
② 급진개화파의 입지약화: 재정 확보책( 당오전 발행)을 둘러싼 민씨 정권과 급진 개화파의 대립, 김옥균이 일본에서의 차관 도입 실패
③ 국제정세의 변화: 청•프 전쟁 직전 조선에서 청군 일부 철수, 일본이 급진 개화파에 군사•재정 지원 약속

전개

① 발발 : 급진 개화파가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정변 을 일 으킴 → 고종의 거처를 경우궁으로 옮김, 민씨 정권의 요인 처단 ② 신정부 수립 : 새 내각 및 인민 평등권 제정 등을 담은 혁신 정 강 14개조 발표(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개혁 시도) ③ 실패 : 청군 개입, 일본군 철수 → 급진 개화파의 일본 망명

결과

① 청의 내정간섭 심화
② 한성조약(조선•일본): 일본에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 신축비용 부담 등
③ 톈진조약(청•일본): 청•일 군대의 동시철수, 향후 조선에 파병 시 상호 통보 등

의의와 한계

① 근대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최초의 개혁 운동, 갑오개혁에 반영, 독립협회 활동으로 계승 ② 일본에 의존, 농민의 토지개혁 요구 미반영 → 민중의 지지 부족

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

조선의 자주적 외교 노력

① 주미 공사 파견(박정양), 영국•독일 등에 전권 공사 파견
② 조•러 비밀 협약 추진 → 청의 방해로 실패

거문도 사건(1885~1887)

러시아 견제를 구실로 영국이 거문도 불법 점령 → 청의 중재로 철수

조선 중립화론 대두

① 부들러: 청•일본의 충돌을 막기 위해 한반도의 영세 중립화를 조선정부에 건의
② 유길준: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조선의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중립화론 제기

열강의 경제 침탈

개항 초기 일본 상인의 무역 독점

① 약탈 무역 : 치외 법권, 무관세 무역, 일본 화폐 사용 등의 특권이용
② 거류지 무역 : 일본 상인의 활동 범위가 개항장 10리 이내로 제한 → 객주, 여각, 보부상 등 조선 상인을 매개로 무역
③ 무역 양상 : 영국산 면제품 판매, 조선의 곡물 •금 등 수입
④ 결과 : 쌀값 상승, 조선 면방직업 몰락, 객주•여각•보부상 등 성장

일본과 청의 무역 경쟁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1882)

한성과 양화진에 상점 개설, 내지 통상 가능, 치외 법권 인정

조•일 통상 장정(1883)

일본상품에 관세부과, 방곡령 조항 신설, 일본에 최혜국 대우 허용

결과

청일전쟁 후 일본이 조선의 상권 장악

조선의 대응

① 방곡령 사건

배경

일본 상인의 곡물 유출, 흉년 → 곡물 가격 상승

내용

• 조•일 통상 장정(1883)에 의거, 지방관이 방곡령(곡물 유출 금지령) 선포
• 함경도, 황해도의 방곡령이 대표적

결과

일본이 규정(1개월 전 일본에 통보) 위반을 이유로 철회 및 피해 보상 요구 → 방곡령 철회, 배상금 지불

② 조선 상인의 대응

시전 상인

상권 수호를 위해 청•일 상인의 점포 철수 요구 시위, 황국 중앙 총상회 설립(1898), 상권 수호 운동, 철시 투쟁 전개

경강상인

증기선 구입으로 일본 상인에 대항

상회사 설립

객주, 여각 등 : 대동 상회, 장통 상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