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조선의 문호개방과 개화정책의 추진
조선의 문호 개방
배경
① 흥선대원군 하야(1873): 양반유생들의 반발로 하야 → 고종 친정, 통상수교 거부 정책 완화
② 통상 개화론의 대두 :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이 문호개방의 필요성 주장
③ 일본의 포함 외교: 서계 문제 → 정한론 대두 → 운요호사건(1875)을 계기로 통상 수교 강요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의 체결(1876)
① 내용
주요 조항 | 의미와 성격 |
---|---|
조선이 자주국임을 명시 |
청의 간섭 배제 목적 |
부산 외 2개 항구(원산, 인천) 개항 |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 거점 확보 목적 |
해안 측량의 자유 허가 |
영토 주권 침해 |
영사 재판권(치외 법권) 인정 |
조선의 사법권 침해, 일본 상인의 약탈 무역 보호 |
② 성격: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
③ 부속 조약
조•일수호조규 부록 |
일본인 거류지 설정, 개항장에서 일본화폐 허용 |
조•일 무역규칙 |
• 일본의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관세 규정 |
근대적 세계 질서로 편입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배경 |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 들여온 조선책략 유포(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한 미국과의 수교 필요성 강조) |
내용 |
거중 조정, 관세 조항, 치외 법권, 최혜국 대우 인정 |
의의 |
서양과 체결한 최초의 조약, 불평등 조약 |
서양 각국과의 수교
과정 |
영국(1883), 독일(1883), 이탈리아(1884) |
내용 |
치외 법권과 최혜국 대우 인정 → 서양 열강의 이권 침탈 |
결과 |
중국중심의 질서 탈피, 근대적 세계 질서에 편입 |
개화 정책의 추진
개화 정책 추진
① 통리기무아문(1880): 개화정책총괄 기구, 외교•군사•통상 등 12사
② 군사제도: 5군영 → 2영, 별기군(신식 군대) 창설
③ 근대시설: 기기창, 박문국, 전환국 등 설치
외교 사절과 시찰단 파견
일본 |
• 수신사: 김기수(1차, 1876), 김홍집(2차, 1880) |
청 |
영선사(1881): 김윤식 인솔로 유학생 파견, 조기 귀국 → 기기창 설치에 영향 |
미국 |
보빙사(1883) :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후 미국공사 부임의 답례로 민영익, 홍영식 파견 |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위정척사 운동 : 양반 유생 주도
① 전개
시기 | 배경 | 내용 | 대표 인물 |
---|---|---|---|
1860년 |
통상요구(병인양요 등) |
통상반대(척화주전론) |
이항로, 기정진 |
1870년 |
강화도조약 체결 압박 |
개항반대(왜양일체론) |
최익현 |
1880년 |
조선책략 유포, 개화정책 추진 |
개화반대,조미수교 반대 |
이만손(영남만인소) |
1890년 |
을미사변,단발령 |
항일 의병 |
유인석 등 |
② 성격 : 반침략•반외세 자주 운동
③ 한계 : 전통적인 성리학 체제 고수 → 근대화 지연 초래
임오군란(1882)
배경 |
• 외세침략과 개화정책 추진에 대한 반발 |
전개 |
구식 군인의 봉기 → 정부 고관 및 일본 공사관 습격(도시 빈민의 가담) |
결과 |
• 제물포조약: 일본에 배상금, 일본공사관에 군대주둔 허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