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이전의 민족 운동
1910년대 국내의 민족 운동
① 의병 항쟁 : 서북 지방의 채응언 부대(1915년까지 활동)
② 비밀 결사 활동
독립의군부(1912) |
• 임병찬이 고종의 비밀 지령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결성 |
대한광복회(1915) |
• 박상진을 총사령, 김좌진을 부사령으로 결성 |
기타 |
송죽회, 기성단, 자립단 등 |
국외의 독립운동
서간도 |
삼원보에 독립운동 기지 개척 |
북간도 |
명동•용정 등에 한인촌 형성 |
연해주 |
블라디보스토크에 신한촌 건설, 권업회 |
상하이 |
신한청년당 조직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
미주 |
대한인국민회, 흥사단, 대조선국민군단 등 결성 |
3•1 운동의 전개
배경
국제정세 |
레닌이 약소민족 지원 선언, 파리강화회의에서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 자결주의 제창 |
국외 독립선언 |
대한 독립 선언(만주에서 지도자 39명의 이름
으로 발표) |
국내 정세 |
일제의 무단 통치에 대한 반발, 고종의 죽음 |
준비
종교계의 연합과 학생 동참, 독립 선언서 작성과 민족 대표 구성, 고종의 인산일을 기하여 시위 준비
전개
① 국내에서의 시위 운동 확산
1단계 |
민족 대표는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 |
2단계 |
교통망을 따라 전국의 주요 도시로 확산 |
3단계 |
일제의 무력 진압에 맞서 무력저항으로 변화 |
② 국외 확산: 만주, 연해주, 미주, 일본 등지에서 만세 시위
탄압
헌병 경찰과 군대로 진압
민간인 학살(화성 제암리 사건)
유관순의 순국
의의
① 독립운동 주체를 학생, 농민, 노동자 등으로 확대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
③ 무장 독립운동의 활성화 계기
④ 일제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전환
⑤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비폭력운동에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