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 독립 전쟁

1920년대 초반 국내 무장 투쟁

천마산대, 보합단, 구월산대 → 평안도•황해도 일대에서 유격전, 독립군의 국내 진입 작전 전개

독립군의 활동과 시련

봉오동전투
1920. 6.

일본군이 두만강 이북의 독립군 공격
→ 대한독립군(홍범도)과 연합부대가 봉오동에서 격퇴

청산리대첩
1920. 10

훈춘사건을 빌미로 일본이 만주 진출, 독립군 추격
→ 북로군정서(김좌진)와 연합부대가 청산리일대에서 격퇴

간도참변

봉오동•청산리 패배에 대한 보복 → 간도지역의 마을 파괴, 학살 자행

독립군이동

독립군 부대들이 밀산부로 이동
→ 대한독립군단 조직(서일)
→ 러시아의 자유시(스보보드니)로 이동

자유시참변

자유시 집결 독립군들이 지휘권 문제로 분쟁
→ 러시아군이 한인부대 무장 해제 → 다수의 독립군 희생

독립군의 재정비

3부 성립
(1920년대 중반)

참의부,정의부,신민부 결성(민정과 군정기관을 갖춘 자치정부로 활동)

미쓰야협정
(1925)

조선총독부와 만주군벌 간 독립군 탄압 협조 약속
→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 위축

3부통합 운동
(1920년대 후반)

3부 통합 시도
→ 남만주에서 국민부(이후 조선혁명당 결성,조선혁명군 조직)
→ 북만주에서 혁신의회 성립(이후 한국독립당 결성,한국독립군 조직)

항일 의열 투쟁

의열단

결성
1919

김원봉을 중심으로 만주 지린에서 조직

활동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1923)을 활동지침
박재혁, 김익상, 김상옥, 나석주 등이 국내외에서 투탄 의거

변화

개별 투쟁의 한계 인식, 조직적 무장투쟁으로 전환
→ 황푸군관학교 입교, 국민당 지원으로 조선혁명간부 학교 설립(1932)

한인애국단

결성

김구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침체 극복을 목적으로 상하이에서 조직(1931)

활동

1932년에 이봉창 의거(도쿄), 윤봉길 의거(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의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계기
윤봉길의거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를 떠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