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조선의 성립과 발전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조선의 건국(1932) 과정

위화도 회군 → 과전법 실시 → 온건 사대부 숙청 → 조선 건국

태종

왕권 강화 : 6조 직계제 실시, 사병 혁파, 호패법 실시

세종

집현전 설치, 경연 실시, 의정부 서사제 실시

세조

6조 직계제 재개, 집현전 폐지, 경연 폐지, 경국대전 편찬 시작

성종

통치제도 정비 : 홍문관 설치, 경연 부활, 경국대전 완성

통치 체제

중앙관제

• 정책: 의정부(국정 총괄), 6조(행정 분담)
• 언론: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왕권: 승정원, 의금부

지방행정

• 도(관찰사) - 부 •목•군•현(수령 파견)
• 향•부곡•소 폐지
• 향리의 지위 격하:수령의 행정 실무 보좌
• 유향소 설치:수령 보좌, 풍속 교정, 향리 감찰

기타

중앙군(5위), 관리 선발(과거, 천거, 음서 등)

사회 신분제

① 법제적 신분제:양천제 - 양인(자유민)과 천인 (비자유민)
② 실제적 신분제:반상제 - 양반(지배층)과 상민(피지배층)

양인

양반

문무 관료, 관직 독점, 국역 면제

-

중인

직업적 전문성(직역 세습), 서리, 향리, 기술관(역관, 의관 등), 서얼(첩의 자손, 중인과 비슷한 처우)

-

상민

농민, 수공업자, 상인

천인

천민

노비(매매, 상속, 증여의 대상), 백정, 광대 등

사림의 성장

훈구와 사림

훈구

공신세력(세조의 집권에 협조), 대토지 소유, 부국강병 강조

사림

중소지주 출신, 향촌자치와 왕도정치 강조

사림의 성장과 사화

성종

훈구세력 견제 → 사림을 3사 언관직에 중용(김종직)

연산군

언론활동 억제, 사림 탄압 →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

조광조의 개혁(현량과 실시, 소격서 폐지) → 기묘사화

명종

외척 간의 권력 다툼 → 을사사화

선조

사림의 중앙정계 주도, 붕당(동인,서인)

서원과 향약 : 사림의 영향력 강화에 기여

서원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 기능 담당, 붕당의 기반으로 인식

향약

전통적 공동 조직에 유교 윤리를 가미한 향촌의 자치 규약 → 유교적 사회 질서 확립, 사림의 향촌에 대한 통제력 강화

민족 문화의 발달

편찬사업

훈민정음창제

민족문화 발전의 기반 마련

-

역사서

• 실록(사고에 보관)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

지도•지리서

• 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 지리서: 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

윤리•의례서

국조오례의, 삼강행실도

과학기술

과학기구

간의와 혼의(천체 관측), 자격루(물시계)
앙부일구(해시계), 측우기(강우량 측정)

-

천문•역법

• 천상열차분야지도(천문도, 태조)
• 칠정산(한양 기준으로 역법 계산)

-

농업기술

농사직설(실제 경험 수집, 토지에 맞는 농사법 보급)

-

의약

향약집성방(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
의방유취(의학 백과사전)

예술

자기공예

분청사기(15세기) → 백자(16세기)

-

그림

• 15세기 - 몽유도원도, 고사관수도
• 16세기 - 사군자 유행

성리학

발달

• 이황: 성학십도,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이이: 성학집요, 현실 개혁에 관심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① 명과 사대 외교(자주적 실리 외교)
② 여진과 교린 정책 → 무역소 설치, 4군 6진 개척
③ 일본과 교린 정책 → 쓰시마 섬 토벌, 3포 개항

왜란

왜란 전 정세

3포 왜란 → 비변사 설치, 을묘왜변

임진왜란(1592)

왜군 침략, 선조의 의주 피난, 명의 원군 파병 → 평양탈환, 휴전 협상 → 정유재란(1597) → 왜군 철수

수군의 활약

이순신의 수군 승리 - 남해의 제해권 장악

의병의 활약

곽재우와 조헌 등 → 왜군에 타격

전란의 영향

• 조선: 인구 감소, 농경지 황폐화, 호적과 양안의 소실
• 일본: 에도 막부 성립, 성리학•도자기 발달의 계기 마련
• 중국 : 명의 쇠퇴, 여진족의 성장(후금 건국)

호란

광해군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정책

인조반정(1623)

광해군의 중립정책과 인목대비 폐위에 불만 →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정권 장악

정묘호란(1627)

서인정권의 친명배금 → 후금의 침공→ 화의(형제관계 맺음)

병자호란(1636)

군신관계 요구 → 척화론.주화론 → 청 침공 → 남한산성 항전 → 삼전도의 치욕+

북벌론

의리 명분론에 입각, 효종 북벌정책 추진